https://code-boki.tistory.com/231
좋은 회고란? (feat. 인프랩's SOL)
좋은 회고란 무엇인가에 글을 작성하기에 앞서 인사이트를 주신인프랩의 직원이신 솔(Sol)이라는 닉네임을 사용하시고 솔퓨터라는 별명을 갖고 계신 소현님의 글을 먼저 공유하고 싶다!!이 글의
code-boki.tistory.com
먼저, 회고글을 작성하기 전에 회고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해서 예전에 작성한 글이 있어서 다시 한번 공유해본다.
종종 이런것들을 프레임워크라고 부르기도 한다.
디자인 프레임워크, 회고 프레임워크, 백엔드 프레임워크...
정해진 틀에 맞춰서 진행하는 것이다.
나는 이 중 회고에 사용되는 KPT 회고 프레임워크를 선택해서 이번 한 주의 회고록을 작성해봤다.
Keep(만족, 지속하고 싶은 부분)


맨 처음부터 섹션3까지 쭉 들었다.
- 웹 서비스를 구성하는 요소: Client, Server, Database
- 브라우저에 주소창을 입력하면 발생하는 일: DNS, IP Resolution, Gateway, Server, DBMS
- 웹 프레임워크/라이브러리
- Spring Framework: MVC Pattern
- 책임분리(Segregation Of Principle): Layered Architecure(3-tier)
- 스프링 Bean & DI(의존성 주입): 생성자, 수정자, 필드 방식
- HTTP, Request, Response
- HTTP Method: GET, POST, PUT, PATCH, DELETE
- HTTP Status Code: 2xx, 3xx, 4xx, 5xx
- REST API: 자원, 행위, HATEOAS
- Send Data Client to Server: Query Parameter(Query String), Path Variable, Request Body
- DBMS: RDB / NoSQL
- RDB Key: PK(Primary Key), FK(Foreign Key), Candidate Key
- RDBMS: Oracle, MySQL, PostgreSQL
- NoSQL Management System: MongoDB(Document), Redis(Key/Value)
- JPA/ORM
- Transaction, Commit, Rollback
- Persistence Context(영속성 컨텍스트): JPA's 버퍼/캐싱 레이어/임시 메모리
호흡이 조금 빠르긴 했지만, 웹 백엔드 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에 대해서 배울 수 있는 요약본 강의였다.
이대로 쭉 마지막 강의까지 듣고 미션도 쭉죽 완성해 나가길 기대한다!
Problem(부족, 아쉬웠던 부분)
사실 Backend개발에 앞서 Web이란것도 HTTP 0.9/1/1.1/2.0 프로토콜 버전.. TCP/UDP, 네트워크 OSI 7계층, TCP/IP 4계층, 스위치/허브/라우터 등등 알아야 할 것들도 많고
Spring쪽으로 넘어오면 Servlet(Java -> Jakarta) 버전부터 한때 JSP(Java Servlet Page)의 출현으로 인한 SSR 발전부터 현재의 CSR부터 다시 SSR(Next.js)등의 개발세계의 히스토리도 풀어줬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비전공자나 코딩이 처음인 사람들 입장에서는 How it Works보다는 How to Use가 중요하니까 이런 포맷으로 준비한게 아니실까 싶다. 그리고 내가 처음 코딩을 배우는 입장이였다면, 위에 나온 내용들이 개발 지식에는 꼭 필요한 것이라 생각해서 잘 구성한 것 같다고도 생각이 들었다.
+ Java나 Kotlin 언어적인 것에 대한 내용도 아주 살짝 있었으면 좋았을 것 같았다!
Try(도전, P에 대한 해결책 등으로 다음번에 보완하거나 시도할 부분)
나름대로 잘 해 나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개인 프로젝트와 더불어서, 강의에 나온 것들 중에서 내가 원래 했던 백엔드 개발에서 놓쳤거나 추가하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보완해보기도 하고 강의 프로젝트도 차근차근 함께 만들어나가봐야겠다!
'Course >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 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주차 회고 발자국 🐾 (1) | 2025.03.29 |
---|---|
3주차 회고 발자국 🐾 (1) | 2025.03.28 |
2주차 회고 발자국 🐾 (6) | 2025.03.16 |
댓글